맨위로가기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은 혀의 앞부분과 잇몸, 경구개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한국어에서는 'ㅈ'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유성 자음 받침 뒤에서 이 소리로 발음되며, 일본어에서는 'じ'와 'じゃ'행에서, 폴란드어에서는 'dź'에서 나타난다. 이 외에도 벵골어,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민남어, 오어, 아일랜드어, 잠비 말레이어, 오키나와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세마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스웨덴어, 우즈베크어, 수미어, 이족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된다.

2. 특징


  • 기류의 발성 - 폐장기류기구에 의해 일어나는 호기이다.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 * 조음 위치 - 혀끝과 잇몸·경구개에 의한 치경구개음이다.
  • * 조음 방법
  • ** 구강 내의 기류 -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완전한 폐쇄를 서서히 개방함으로써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을 수반하는 파열음 (파찰음)이다.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3. 언어별 예시

폴란드어에서는 dź에서 이 소리가 나며, dźwięk([d͡ʑvʲɛŋk])과 같이 쓰인다.[5] 눠쑤어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의 nj와 jj에서 이 소리가 나며, nj는 선비음화 자음이다.

벵골어에서는 যখন([d͡ʑɔkʰon])과 같이 쓰이며, '언제'라는 뜻을 가진다. 카탈루냐어에서는 mitjà([mɪ(d)ˈd͡ʑa])로 쓰이며 '중간'을 뜻하고, 발렌시아어에서는 joc([ˈd͡ʑɔk])로 쓰이며 '게임'을 뜻한다.[1]

아일랜드어 일부 방언에서는 dearg([d͡ʑaɾˠəɡ])와 같이 쓰이며, '빨간'을 뜻한다. 이는 경구개화된 치경 파열음의 실현이다.[2][3][4]

오키나와어에서는 fijeetiinagaa([ɸid͡ʑeːtiːnagaː])와 같이 쓰이며, '도둑'을 뜻한다. 루마니아어의 바나트 방언에서는 des([d͡ʑes])와 같이 쓰이며 '빈번한'을 뜻한다. 이는 전설 모음 앞의 [d]의 이음이며, 표준 루마니아어에서 [d̪]에 해당한다.

러시아어에서는 дочь бы([ˈd̪o̞d͡ʑ bɨ])와 같이 쓰이며, '딸은'을 뜻한다. 이는 유성 자음 앞의 [t͡ɕ]의 이음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는 ђаво/đavo([d͡ʑâ̠ʋo̞ː])와 같이 쓰이며, '악마'를 뜻한다. 카이카비아 및 차카비아 방언에서 [d͡ʒ]와 병합된다.

스웨덴어에서는 djur([dʑʉːr])와 같이 쓰이며, '동물'을 뜻한다. 초기 위치, 노르보텐 및 핀란드에서 [j]의 이음이다.[7][8] 우즈베크어의 일부 화자는 jon([d͡ʑɒn])와 같이 쓰며, '친애하는'을 뜻한다. [dʒ]의 이음이다.[9]

세마어에서는 aji([à̠d͡ʑì])와 같이 쓰이며, '피'를 뜻한다.[6] [i, e] 앞의 [ʒ]의 가능한 이음이며, [ʑ], [ʒ], [d͡ʒ]로 실현될 수 있다.[6]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이 사용되는 기타 언어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잠비 말레이어توجوهms / tujuhms[tud͡ʑʊh]7잠비 말레이어 참조
수미어하부[d͡ʑɐʔ˦]
상부[d͡ʑɐ̝˦]
이족어ii / jjiii[d͡ʑi˧]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 이 소리는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 또는 유성음 받침(ㅁ, ㄴ, ㄹ, ㅇ)과 홀소리 사이의 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편지'는 , '남자'는 남자|namja한국어와 같이 소리 난다.

3. 2. 일본어

일본어의 じ와 じゃ행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1]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일본어 / [t͡ɕid͡ʑĩɴ]지인일본어 음운론 참조


  • 일본어 - 저지(ジャージ) [d͡ʑaːʑi]。일본어에서는 어두 또는 비음·촉음 뒤의 , 자, 주, 조의 자음에 나타난다.

3. 3. 중국어

민어에서 '日'은 '해'를 뜻하며, 발음은 [d͡ʑit̚˧ʔ]이다.[1] 오어에서 '渠'는 '그/그녀/그것'을 의미하며, 발음은 [d͡ʑy]이다.

3. 4. 기타 언어


  • 한국어: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 또는 유성음 받침(ㅁ, ㄴ, ㄹ, ㅇ)과 홀소리 사이의 ㅈ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편지'는 [pʰjʌ̹ːnd͡ʑi]로 소리난다.[1] 한국어 음운론 참조.
  • 일본어: じ와 じゃ행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지인'은 [t͡ɕid͡ʑĩɴ]으로 소리난다.[2] 일본어 음운론 참조.
  • 폴란드어: dź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dźwięk'는 [d͡ʑvʲɛŋk]로 소리난다.[3] 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 눠쑤어: 라틴 문자 표기의 nj와 jj에서 이 소리가 난다. nj는 선비음화 자음이다.
  • 중국어 오어: 渠는 [d͡ʑy]로 소리나며, '그/그녀/그것'을 뜻한다.
  • 아일랜드어: 일부 방언에서 'dearg'는 [d͡ʑaɾˠəɡ]로 소리나며, '빨간'을 뜻한다. 이는 경구개화된 치경 파열음 [dʲ]의 실현이다.[4][5][6] 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 오키나와어: 'fijeetiinagaa'는 [ɸid͡ʑeːtiːnagaː]로 소리나며, '도둑'을 뜻한다.
  • 루마니아어 바나트 방언: 'des'는 [d͡ʑes]로 소리나며, '빈번한'을 뜻한다. 이는 전설 모음 앞의 [d]의 이음이며, 표준 루마니아어에서 [d̪]에 해당한다.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 러시아어: 'дочь бы'는 [ˈd̪o̞d͡ʑ bɨ]로 소리나며, '딸은'을 뜻한다. 이는 유성 자음 앞의 [t͡ɕ]의 이음이다.[7]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ђаво' / 'đavo'는 [d͡ʑâ̠ʋo̞ː]로 소리나며, '악마'를 뜻한다. 카이카비아 및 차카비아 방언에서 [d͡ʒ]와 병합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 스웨덴어: 'djur'는 [dʑʉːr]로 소리나며, '동물'을 뜻한다. 초기 위치, 노르보텐 및 핀란드에서 [j]의 이음이다.[8][9]
  • 우즈베크어: 일부 화자에서 'jon'은 [d͡ʑɒn]로 소리나며, '친애하는'을 뜻한다. [dʒ]의 이음이다.
  • 이족어: 'ꐚ' / 'jji'는 [d͡ʑi˧]로 소리나며, '벌'을 뜻한다.


기타 언어에서의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벵골어যখন[d͡ʑɔkʰon]언제벵골어 음운론 참조
카탈루냐어[1]mitjà[mɪ(d)ˈd͡ʑa]중간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발렌시아어joc[ˈd͡ʑɔk]게임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민남어日 / ji̍t[d͡ʑit̚˧ʔ]
잠비 말레이어توجوه / tujuh[tud͡ʑʊh]7잠비 말레이어 참조
세마어aji[à̠d͡ʑì][i, e] 앞의 [ʒ]의 가능한 이음; ʑ, ʒ, [d͡ʒ]로 실현될 수 있음.
수미어하부[d͡ʑɐʔ˦]
상부[d͡ʑɐ̝˦]


참조

[1] 참고
[2] 참고
[3] 참고
[4] 참고
[5] 참고
[6] 참고
[7] 참고
[8] 참고
[9] 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